[카테고리:] 지구

  • 지구의 기후 변화 및 온난화의 원인 | 지구 내·외적 원인 7가지

    지구의 기후 변화 및 온난화의 원인 | 지구 내·외적 원인 7가지

    이번 시간에는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에 대해서 한번 알아볼 예정이다.

    일단 먼저 기후변화의 원인을 볼 건데 기후변화의 원인에는 지구 내적 원인과 지구 외적 원인이 있다.

    우선 지구 내적 원인에 대해 살펴볼 것인데, 지구 내적 원인은 말 그대로 지구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온난화1

    지구 내적 원인

    첫 번째 원인으로는 지표면에 변화가 있는데 예를 들어 빙하의 면적이 많아지거나 숲의 면적이 작아지게 되면 지표면에 반사율이 높아지게 된다. 그 이유는 빙하의 면적이 많아지다 보면 햇빛을 반사하는 비율이 더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 숲의 면적이 적어지면 이제 나무들이 햇빛을 흡수하지 못하니 지표면에 반사율이 높아지게 된다.

    두 번째 원인으로는 화산활동이다. 화산활동이 일어나게 되면 화산재가 많이 나오는데, 이때 이 화산재들은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다 막아 기온을 낮아진다. 그래서 화산활동이 일어나면 일시적으로 그 주변에 기온은 하강하게 된다.

    세 번째 원인으로는 수륙분포의 변화가 있다. 바다랑 육지에 분포가 변화가 일어나게 되면 마찬가지로 기후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네 번째 원인으로는 대기조성의 변화이다. 가장 대표적인 예시로 이산화탄소가 있다. 이산화탄소가 많아지게 되면 지구온난화가 심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지구 외적 원인

    지구 외적 원인이라는 것은 말 그대로 지구 안을 뜻하는 게 아니라 우주적인 관점에서 지구를 봤을 때 좀 달라지는 것들이다.

    지구 자전축에 기울기가 달라지거나, 경사방향이 달라지거나, 공전궤도모양의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등의 외적 요인이 달라지는 것이다.

    이런 외적 요인들이 발생하게 되면 태양복사에너지에 입사량이 변화가 일어나게 되고, 이런 변화로 인해 기후 변화를 초대한다.

    지구 기후 변화의 연구 방법은?

    “과거의 기후가 어떻게 변해 왔을까”라는 것을 세 가지 방법으로 알 수가 있다.

    첫 번째, 나무의 나이테 연구

    나무의 나이테는 1년에 하나씩 형성된다는 특징을 갖고 있는데, 만약에 온난화고 강수량이 높았다면 그 연도에는 나이테 간격이 더 커진다. 그래서 나무의 나이테 연구를 통해 수 천 년 전까지의 기후를 알 수 있어요

    두 번째, 빙하 연구

    빙하를 뚫어가지고 빙하의 코어를 보면 일 년에 하나씩 층이 생성되게 되는데 이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빙하를 형성할 때, 조금 조금씩 들어갔던 공기방울을 통해 분석을 할 수 있다.,

    빙하가 공기방울을 가둬놓고 있으니까 이 공기방울들을 분석하면 그때 당시에 대기 성분을 알아낼 수 있으며, 빙하 연구로는 수십 만 년 전까지 의 기후를 알아낼 수가 있다.

    세 번째, 화석 연구

    해저 퇴적물과 퇴저감 속 있는 화석을 연구하면 기후를 알 수가 있다. 그래서 수억 년에서
    수십억 년 전까지의 기후를 알아 낼 수가 있다.

    온난화2

    지구 온난화 발생 원인

    대기 중에 온실기체의 양이 증가하면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하게 된다. 이 온실 기체는 지구복사에너지를 흡수를 해,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다.

    지구 지표면에서는 지구 복사 에너지라는 것이 나오는데, 온실기체가 가득 차 있으면 온실기체는 지구복사에너지를 흡수해 있기도 하고, 다시 반사시키기도 한다.

    빠져 나가야 할 지구 복사 에너지를 가두고 있는 문제를 발생시키다보니 온실기체가 점차 많아지면 온실효과가 더 심해질 수 밖에 없게 된다. 즉, 지구의 온도는 올라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온실 기체의 가장 대표적인 예시로는 수증기가 있으며, 그 다음으로 제일 많이 나오는 이산화탄소, 메테인 등이 있으며 당연히 이산화탄소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온실기체라고 보면 된다.

    지구 온난화는 공장이 많이 생기기 시작한 산업혁명 이후에 급증을 하게 되는데, 공장에서는 화석연료를 많이 사용하며 연소할 때 이산화탄소가 급격하게 증가했다.

    그리고 과도하게 삼림 벌채, 숲과 나무들을 다 깎아내고 가축을 사육하는 등의 영향으로
    온실 기체는 계속해서 증가하게 되었다.

    즉, 온실가스 ‘이산화탄소’는 지구 평균 기온에 영향을 많이 미치게 되는데, 해수면을 상승시키고 기상이변도 생길 수 있고 생태계가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들은 결국 인간에게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되고, 생존에 있어 위험한 상황들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 날씨 | 2100년 지구 온도 3도 높아진다
    지구 온난화 원인 ‘99%가 인간 탓’

    참고

    기후변화홍보포털(링크)

  • 지구 온난화 원인 ‘99%가 인간 탓’

    지구 온난화 원인 ‘99%가 인간 탓’

    지구 온난화는 세계적으로 문제거리로 대두되고 있다.

    세계가 발전함에 따라 수많은 혜택들이 발생했지만 그만큼 우리 주변 환경은 큰 문제에 봉착했다.

    인간은 욕심을 채우기 위해 무분별하게 벌목을 하고, 바다와 강물이 오염되고, 공해 등으로 인해 한결 같을 것만 같았던 깨끗한 환경은 무참히 파괴되고 있다.

    지구촌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 ‘인간 99% 영향’

    IPCC 보고서에서 발표한 자료 따르면 “지구에서 발생하는 기후변화는 인간의 영향이 매우 크다”고 보고 했으며,

    그동안 인간이 짓밟아온 환경 오염은 대기와 해양, 육지에서 발생하는 온난화 문제를 일으켰다고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서는 자연이 아닌 온난화, 기후변화로 ‘폭염’, ‘호우’, ‘가뭄’, ‘열대저기압’ 등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극한 현상은 사실상 인간이 주된 원인이라고 평가했다.

    스웨덴 산 1위 내줘..

    최근 스웨덴 스톡홀름대는 “매해 상승한 기온 상승으로 스웨덴 산 꼭대기에 오랫동안 자리하고 있던 빙하가 녹아 1년 사이 2m가 줄었다”고 보고 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스웨덴 케브네카이세산 남쪽 정상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평가되었지만, 2019년 빙하의 3분의 1이 녹으면서 1위를 내주었다고 말했다.

    수많은 산에도 이미 크고 작은 변화

    게다가 에베레스트를 비롯해 히말라야 지역은 이미 지구 온난화로 엄청난 변화들이 발생하고 있다.

    히말라야 빙하가 매년 0.5cm씩 녹아내리며, 녹아내린 빙하물로 주변 일대가 홍수를 일으키고 있다.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00117153000797

    또, 에베레스트산에 쌓여있던 빙하들이 녹으면서 풀이 자란다는 소식도 전해지고 있다.수 십 년 동안 지구 온난화를 연구하던 수많은 과학자들은 앞으로 이대로 지속하다가는 전 세계 사람들은 고통 받을 것이며,

    하루 빨리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여 지구 온도 변화를 낮춰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 날씨 | 2100년 지구 온도 3도 높아진다

  •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 날씨 | 2100년 지구 온도 3도 높아진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 날씨 | 2100년 지구 온도 3도 높아진다

    최근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을 비롯해 수많은 나라에서는 지구 온난화에 초점으로 환경 오염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산업화가 발달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기온이 크게 상승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지구의 변화는 뚜렷하게 보여지고 있다.

    아프리카 케냐에 있는 ‘킬리만자로’는 불과 20년 전만 하더라도 눈이 산을 뒤덮었지만 지금은 모두 다 녹고 산 정상에만 일부 남아있다.

    우리는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는 흔히 서로 바꿔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 두 단어는 뚜렷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날씨는 단시간(분에서 시간 또는 일)에 걸쳐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대기 상태로 친숙한 예로는 비와 눈, 구름, 바람, 홍수 또는 뇌우가 있다.

    반면 기후는 계절, 수 년 또는 수십 년 동안의 기온, 습도 및 강우 패턴의 장기적 / 지역적 또는 전지구적 평균을 가리킨다.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란 무엇인가?

    지구온난화는 주로 화석 연료를 사용하기 시작한 산업화 이전(1850~1900년대)부터 관측된 지구 기후로 지구 대기의 온실 가스를 증가 시켰다.

    이 용어는 ‘기후 변화’라는 용어와 함께 자주 쓰이고 있으며, 인간과 자연적으로 생성된 온난화, 그리고 그것이 지구상에 미치는 영향을 모두 나타낸다.

    가장 일반적인 측정 방식은 ‘지구 표면 온도의 평균 증가’이다.

    지구는 산업화 이전부터 인간의 활동으로 지구의 평균 온도가 약 1도 상승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이 수치는 10년마다 0.2℃씩 상승하고 있다.

    산업화 기술 발달로 인해 결국 대기와 바다, 육지의 온도가 상승되었다는 것은 명백한 결과다.

    기후 변화란 무엇인가?

    우리가 이야기하고 있는 기후 변화는 지구의 국지적, 지역적 및 전지구적 기후를 정의한 평균 기상 패턴이다.

    20세기 이후, 지구 기후에서 관찰된 변화는 주로 인간의 활동, 그중에서도 특히 화석 연료 연소에 의해 지구 대기의 열을 가두는 온실 가스의 수준을 대폭 증가시켰고 그 결과 지구의 평균 표면 온도가 상승했다.

    인간의 활동으로 만들어진 온도 상승은 일반적으로 지구 온난화라고 부르고 있다.

    과학자들은 어떤 것을 측정하는가?

    전 세계 수많은 과학자들은 지구의 과거, 현재, 미래의 기후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기후 데이터 기록은 지구 육지 및 해양 온도의 상승과 같은 기후 변화 핵심 지표의 증거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2021년 제 26차 유엔 기후 변화 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기후학자 60%가 “2100년 지구 기온 사업화 이전보다 3℃ 더 상승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 유용한 정보 보기

    출처: NASA(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