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이 점점..” 매일 잠을 부족하게 잤더니 결국 몸이 ‘이렇게’ 되었습니다.

수면은 생존을 위해서 꼭 필요한 활동으로 몸의 피로를 회복시켜주고 생체리듬을 유지해 주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 동안 수면을 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때문에 하루만 잠을 못 자더라도 다음날 정신이 몽롱하고 집중력이 떨어지는 등 일상생활에 영향을 끼치는데요. 수면 부족이 지속될 시 건강 기능이 저하되며, 만성질환의 주요 원인인 비만이 될 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전문가들은 “건강을 위해서는 적정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라고 늘 강조하며 말합니다.

가톨릭대학교 인천 성모병원 가정의학과 상담의사 서민석 교수는 “성인의 적정 수면시간은 7~8시간으로 적정 수면시간보다 적거나 많이 자게 되면 당뇨와 심장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지며 암 발병률까지 높아진다”라고 전했습니다.

이 외에도 수면 부족은 사람의 성격에도 영향을 줍니다. 퍼블릭 라이브러리 오브 사이언스 바이올로지에서 발표한 논문을 살펴보면 수면 부족은 이기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또한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 캠퍼스 수면 과학 센터 연구진들은 수면이 사람의 행동과 성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3가지 방법의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특히 수면과 자기 자신의 이익만을 꾀하는 마음을 나타내는 이기심과의 상관관계에 주목했습니다.

연구 결과, 수면과 이기심에는 큰 연관이 있었습니다. 연구를 주도한 두 인물 중 한 사람인 에티 벤 시몬은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는 수면 부족이 사람의 성격에도 큰 영향력을 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라며 “평균 수면 시간보다 한 시간이라도 적게 자게 되면 사람은 타인을 돕는 행동을 피하며 반사회 성향이 높아진다”라고 전했습니다.

이 연구의 첫 번째 근거로는 2010~2016년까지의 미국 전지역의 기부금액에 대한 흐름을 자체 분석한 자료를 제시했습니다. 자료를 살펴보면 특정 기간 동안의 전체 기부금액이 평균 보다 약 10%가량 감소했다는 사실을 확인해 볼 수 있었는데요.

이는 데이라이팅 세이빙 타임이 시작한 시기와 일치하는데, 세이빙 타임이랑 해가 늦게까지 떠있는 계절 동안 아침 한 시간을 일찍 시작하고 저녁 한 시간을 늦게 마감한다는 의미의 단어로 이러한 시기에는 기부금액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습니다.

두 번째 근거는 연구 참가자들의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이었습니다. 연구진은 충분한 수면을 취한 뇌와 잠을 전혀 자지 못한 뇌의 활동 영상을 비교했으며 두뇌에서는 이타심과 공감력, 사회화를 나타내는 마음 이론과 관련 있는 뇌 영역에서 차이점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고 합니다.

이는 수면이 부족할 때 친사회적 신경 영역의 활동량이 비교적 감소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마음 이론이란 타인에 대한 공감과 이해 능력치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대부분 유아기 시절 사회화와 함께 발달합니다.

마음 이론의 활동은 사회적 상호작용에 매우 중요합니다. 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조현병,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등 정신질환 환자 또는 약물중독으로 뇌가 손상이 된 환자들에게서 마음 이론의 결여가 관찰됩니다.

마지막 세 번째 근거는 연구진이 모집한 약 100여 명의 실험 참가자의 3~4일 동안 수면패턴을 관찰 후 참가자들에게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했는데요. 그 결과 연구진은 이기심이 수면시간보다는 수면의 질의 영향을 더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에티 벤 시몬과 함께 연구를 진행한 심리학 교수 메튜 워커 심리학 교수는 “이미 알려진 것처럼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 모두 사람의 정서와 일상생활에 영향을 준다”라며 “하지만 이기심과 수면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수면의 양보다는 수면의 질의 영향력이 조금 더 크다”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메튜 워커는 현대사회의 수면 부족 현상에 대해 말을 덧붙였습니다. “선진국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이 모두 부족하다”, “이러한 현상을 ‘범세계적 수면 부족 대유행’이다”라고 했습니다.

메튜 워커는 “이미 수면 부족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건강 문제에 대해서 많은 연구와 결과가 발표되었다”,”이번 연구를 통해서 수면 부족은 건강 문제뿐만 아니라 타인을 돕는 사람의 사회성마저 뺏어갈 수 있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사람들이 본인의 적정 수면시간을 최대한 신경 썼으면 좋겠다”라고 조언했습니다.

한국인의 평균 수면 시간은 평일 6.7시간, 주말 7.4 시간입니다. 세계 평균 수면 시간인 평일 6.9시간, 주말 7.7시간과 비교했을 때 비교적 적은 시간인데요. 잠을 잘 자기 위한 수면 습관을 잘 지키면서 충분한 시간 동안 깊은 잠을 잘 수 있도록 몸을 적응시켜 나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