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을 간다는 것은 보통 병원에서 진료 후 약국에 들러 약을 처방받는 것까지 한 세트입니다. 약은 보통 3일 3회분을 처방해 주며, 대부분이 증상이 호전되었을 땐 처방받은 약을 다 먹지 않았더라도 약 복용을 중단하는데요.
증상이 많이 호전되었다고 하더라도 처방받은 약은 다 먹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의학 관련 지식을 알려주는 유튜브 채널 ‘닥터 프렌즈’에서 업로드한 ‘처방받은 항생제 다 먹어야 하는 이유’ 영상을 살펴봅시다.
항생제란? 항생제는 환자가 세균으로 인한 감염에 맞서 싸우도록 도와주는 의약품으로, 몸에 생긴 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죽이는 역할을 합니다.
항생제 내성의 위험성은 뉴스 등을 통해서 많이 알려지고는 있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간과하고 있습니다. 닥터 프렌즈에서는 항생제 내성과 내성균 예방 생활 수칙에 관한 주제를 영상을 통해 알기 쉽게 설명해 주었는데요.
대학병원에서 근무 중인 의사이자 닥터 프렌즈 출연진 우창윤는 실제로 내성균으로 인한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내성균이 발생하면 치료 과정이 길어지고 몸에 받는 약의 종류도 줄어들게 되는 탓에 치료가 어려워져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발생한다고 합니다.
항생제 내성이란 무엇일까요? 우리 몸에 위험을 가하는 것은 세균과 바이러스 2종류가 있습니다. 그중 세균을 죽이는 것이 항생제로 이 항생제가 처음에는 세균과 맞서 싸우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균이 항생제에 대한 방어 능력을 갖추게 되어 항생제의 역할을 더 이상 할 수 없는 것을 항생제 내성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인 항생제 ‘페니실린이’라는 약품은 1940년에 처음 도입된 이후로 지금까지 80년이라는 시간 동안 수많은 생명을 구했습니다.
하지만 점차 발생하는 세균들은 페니실린 같은 대부분의 약에 대해 내성을 갖게 되어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 치료 효과가 조금씩 감소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새로운 약을 개발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신약 개발에 속도에 비해 균들이 내성을 획득하는 속도가 더 빨라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일례로 인간의 피부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세균 ‘황색포도상구균’은 1940년도에 개발된 페니실린으로 웬만하면 치료가 가능했지만 불가 1년 만에 페니실린에 대한 내성을 가지게 되면서 10년이 지난 시점에는 약 60% 이상의 포도균 세포가 페니실린에 대한 내성을 획득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원인은 페니실린이 항생 작용을 하는 부분을 포도상구균이 분해하는 효소를 만들어 파괴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런 식의 약에 대한 내성을 가지는 세균들이 많아지게 되며 항생제 내성이란 단어가 만들어졌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내성균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요? 가장 좋은 방법은 항생제 내성균을 만들지 않도록 생활 수칙을 지키는 것입니다. 항생제 내성균을 만들지 않는 3가지 생활 수칙에 대해 알아봅시다.
첫 번째는 올바른 항생제 처방입니다. 이 부분은 병원에서도 특정 이상의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부분으로 환자의 역할도 중요한데요.
병원을 굉장히 짧은 시간 안에 내원하거나 항생제 처방이 크게 필요 없는데 처방을 요구하는 행동은 하지 말아야 합니다. 항생제 처방을 원하는 이유는 대부분 항생제를 먹어야 빨리 호전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데요. 세균 감염이 아닌 바이러스 감염일 경우에는 항생제를 먹는다 해도 빨리 호전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두 번째는 처방받은 항생제의 용법과 양, 기간을 지켜서 끝까지 복용하는 것입니다. 항생제 내성이 생기는 이유 중에 하나는 정해진 용량과 기간만큼 복용하지 않아 세균이 완전히 죽지 않고 남아 있는 균들에게 내성균이 발생하게 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은 개인위생관리와 손 씻기였습니다. 해당 영상을 접한 네티즌들은 댓글 창에는 “항생제를 끝까지 복용해야 하는 이유를 이렇게 상세하고 근본적으로 알려주시니 경각심이 확 생기네요”,”처음 들어본 정보인데 정말 중요한 정보네요”,” 앞으로 약을 처방받으면 중간에 끊고 안 먹는 일은 만들지 말아야겠어요” 등의 반응을 남겼습니다. 항생제 내성균을 만들지 않는 3가지 생활 수칙을 참고하여 올바른 약 복용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